이 상은 통견의 착의를 하고 있으며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결하고 왼손은 약합을 받친 자세로 정면을 향해 서 있는 금동약사불입상이다. 상의 높 이는 13.0cm이며 현재는 발아래의 촉이 있는 것으로 봐서 원래는 대좌 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. 머리를 제외하고는 표면에 금이 비교적 잘 남 아 있으며 보존 상태도 매우 양호하다. 넓은 어깨와 잘록한 허리의 표현으로 신체의 볼륨감이 강조되었다. 얼굴 은 둥글고 몸에 비해 비교적 큰 편이며 볼에 살이 차올라 풍만해 보인 다. 얼굴에 파손의 흔적이 있지만 비교적 이목구비와 삼도의 표현은 뚜 렷한 편이다. 머리에는 나발이 없으며, 육계가 높이 솟아 있다. 수인은 오른손으로 시무외인을 결하고 있으며 왼손은 둥근 형태의 지물을 받쳐 들고 있다. 착의법은 우드야나식의 통견이며 배 아래쪽까지 번파식의 U 자형 옷주름이 억양 있게 표현되었다. 또한 다리에는 대칭을 이루는 타 원형으로 옷주름이 허벅지에 표현되어 다리의 양감을 강조하고 있다. 이 상은 양감 있는 얼굴과 볼륨감 있는 신체의 표현, 그리고 우드야나식의 통견대의를 걸치고 양 허벅지의 양감을 강조하기 위한 타원형의 옷주름 이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통일신라 중후기의 것으로 생각된다.